
대한민국 외교통상부, 한국국제협력단, 한국해외원조단체협의회, 전국경제인연합회, 한국대학교육협의회, 국제개발협력학회,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, 유엔아카데믹임팩트 한국협의회는 인간 개개인의 자유와 평등이라는 인류 보편적 가치 실현과 국제사회의 공동 번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지구촌의 빈곤과 불평등 감소가 필수적이라는 데 인식을 함께 하고, 국제사회가 2000년 유엔 새천년정상회의에서 합의한 유엔 새천년정상선언 및 2015년까지 달성하기로 합의한 유엔 새천년개발목표(MDGs)의 실현과 그 이후 국제사회가 설정해나갈 새로운 개발 목표의 구체화 및 실현에 기여할 것을 바라며, 2011년 부산 세계개발원조총회 결과문서인 효과적인 개발협력을 위한 부산 파트너십의 기본원칙인 개도국의 주인의식, 성과 중심, 포괄적 파트너십 및 투명성과 책무성의 중요성을 재확인하고, 국제개발협력기본법 및 국제개발협력 선진화 방안에 의거하여 정부와 민간 부문 간 보다 긴밀한 개발협력 파트너십을 구축할 필요성을 확인하며, 정부 뿐 아니라 시민사회와 민간 부문이 참여하는 광범위하고 포괄적인 형태의 새로운 무상 개발협력 파트너십을 구축하기 위해, 다음과 같이 협력하기로 선언한다.
- [ 1 ] 정부, 시민사회, 기업 및 학계를 폭넓게 아우르는 개발협력연대를 이에 결성한다.
- [ 2 ] 개발협력연대는 국제사회의 빈곤과 불평등 감소 및 개발도상국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직․간접적으로 기여하는 다양한 주체를 하나의 장으로 결집시켜 국제사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공공과 민간 부문의 노력을 함께 모아서 최선의 결과를 도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.
- [ 3 ] 개발협력연대의 영문 명칭은 Development Alliance Korea로 하고, 개발협력연대의 참여기관(이하 “참여기관”이라 한다)은 외교통상부, 한국국제협력단, 한국해외원조단체협의회, 전국경제인연합회, 한국대학교육협의회, 국제개발협력학회,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, 유엔아카데믹임팩트 한국협의회 및 별지에 명시된 민간단체․기업․대학을 포함한다. 개발협력연대의 목적에 부합하고 개도국의 빈곤과 불평등 감소를 위한 활동에 동참하고자 하는 기관은 참여의사를 개발협력연대 사무국에 표명하고 참여할 수 있으며, 이러한 기관은 별지에 추가적으로 명시된다.
- [ 4 ] KOICA는 개발협력연대의 사무국 역할을 수행하며, 사무국의 구체 기능은 참여기관 간 별도 협의를 통해 확정한다. 한편, 개발협력연대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관련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설치할 수 있다.
- [ 5 ] 개발협력연대는 무상 개발협력과 관련한 다음 사항에 대해 협력한다.
- ① 각 참여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정보 및 이행 중인 활동 공유
- ② 공공 부문의 국제개발협력 노력, 기업의 글로벌 비즈니스 활동 및 사회적 공헌 노력, 시민사회 및 학계에 축적된 현장 활동력과 전문성을 연계하여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민관협력 사업의 발굴 및 이행
- ③ 정부의 국제개발협력 정책․전략 중 민관협력 방안에 관한 협의
- ④ 국제개발협력에 대한 대한민국 국민의 인식을 제고하기 위한 활동 수행
- ⑤ 그 밖에 협력이 필요하다고 참여기관이 결정하는 사항
- [ 6 ] 각 참여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정보 공유를 통해 발굴ㆍ이행하게 될 개발협력연대의 민관협력 사업은 실질적인 성과 창출을 통해 국제사회의 빈곤과 불평등 감소 및 개발도상국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한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.
- [ 7 ] 개발협력연대는 향후 여타 정부 기관, 유엔과 경제협력개발기구(OECD)를 비롯한 다자기구, 국제 시민사회 및 민간 부문과의 협력도 추구해 나갈 것이다. 이를 통해 부산세계개발원조총회 합의사항을 이행하기 위해 2012년 6월 말 출범한 효과적인 개발협력을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의 이행에도 기여하게 될 것이다.
- [ 8 ] 개발협력연대는 포럼, 워크숍, 세미나 등의 형태로 최소 연 2회 정기 모임을 개최하고, 정기 모임 외에 개발협력연대의 효율적 업무 수행을 위해 필요하다고 인정될 경우에도 참여기관의 제안에 따라 회합한다.
- [ 9 ] 개발협력연대는 자발적 참여에 의해 운영되므로, 본 선언은 참여기관의 법적 책임 및 의무를 발생시키지 않는다. 다만, 우리는 개발협력연대의 성공적인 운영을 통해 국제사회의 빈곤과 불평등 감소 및 지속 가능한 발전 추구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을 확인한다.